클로드 섀넌, 그는 누구인가?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 1916-2001)은 미국의 수학자이자 전기공학자로 디지털 시대의 기초를 만든 사람이다.
그는 '정보 이론의 창시자'로써 1948년 <통신의 수학적 이론>을 발표해 정보 이론의 기초를 세웠고, 정보의 양을 수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비트(bit)' 개념을 최초로 사용했다. 그의 연구와 논문은 현대 컴퓨터 과학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으며, 오늘날 디지털 통신과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현대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가져왔다.
그의 또다른 업적은 엉뚱한 곳에서 발견된다. 바로 섀넌의 도깨비 투자 전략.
1950년대 말 섀넌은 주식시장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때 섀넌의 서재는 3개의 서가를 가득채운 약 100여권의 경제학과 투자관련 서적으로 채워졌다고 한다. 섀넌은 시장이 랜덤워크한 통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데 의심을 품었고, 그가 연구한 '정보이론'에서 유용한 통찰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고민했다. 시간이 날 때마다 수학적 방법을 활용한 주식시장 투자 시스템을 연구했지만, 정작 주식시장에 관한 글을 하나도 발표하지 않았다.
1960년대 중반, 섀넌은 MIT에서 과학적 투자행위를 주제로 정기 모임을 열었는데, 폴 새뮤얼슨을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는 모임이었다. 그 즈음 섀넌은 2~3차례 MIT에서 투자에 대한 강연을 했는데, 그 강연에서 등장한 내용이 《랜덤워크로부터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었다. 이 전략의 핵심은 "투자자산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현금 50 : 주식 50으로 계속 조정"한다는 것이다. 이 전략은 후일 '섀넌의 도깨비(Demon)'로 불리게 되는데, 이는 물리학의 '맥스웰의 도깨비'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이 전략으로 섀넌은 1950-1956년 사이에 연평균 28% 정도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수학자로서 감정적 요소를 배제하고 수학적/통계적으로 투자에 접근한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섀넌의 도깨비는 현대의 퀀트(Quant) 투자 전략의 프로토타입이라고도 볼 수 있다.
1. 여러분은 $1,000를 가지고 있다.
2. 이것을 주식 $500와 현금 $500달러로 나누어 투자를 시작한다.
3. 첫째날 주가가 반토막으로 주식 $250와 현금$500가 되었다. (합계 $750)
4. 현금 $125로 주식을 추가 매입해 균형을 맞춘다. (주식 $375 현금 $375)
5. 둘째날 주가가 두배로 상승 했다고 가정하자. (주식 $750 현금 $375 합계 $1,125)
6. 주식을 매도해 현금과 주식의 균형을 맞춘다. (주식 $562.50 현금 $562.50)
$1,000를 모두 주식에 투자하고 보유한 투자자는 자산이 그대로인 반면, 섀넌의 도깨비 투자자(균형 복원 포트폴리오)는 $1,125로 자산총액이 $125 증가했다.
섀넌의 도깨비 투자전략 시뮬레이션
섀넌의 도깨비는 정말 유효한 투자 전략일까?
가설에서의 사례는 고작 2거래일의 변화로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래서 거래일수를 늘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 보겠다.
주요 가정
- 투자원금은 500만원
- 주가는 10,000원에서 N파형으로 6,500원까지 하락 → 상승 N파형으로 10,000원까지 재상승
- 총 거래일은 22거래일, 매일 종가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균형 조정 수행 가정
- 거래수수료 등 제반비용은 없다고 가정
- 최초 투자 후 보유 투자자 자산합계 : 5,000,000원 (0.00%)
- 섀넌 도깨비 투자자 자산합계 : 5,132,500원 (2.65%)
500만원을 전부 주식으로 보유한 투자자는 자산의 변동이 없는 반면, 섀넌 방식의 투자자는 22거래일만에 2.65%익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2거래일을 1개월(31일)이라고 가정하면 연환산 수익률은 무려 31.20%에 이른다. 시뮬레이션 사례처럼 주가가 움직이지는 않겠지만, 섀넌의 리밸런싱 투자기법은 어느 정도 측면에서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섀넌의 도깨비 모의투자 - 삼성전자 (24. 8. 23 ~ 10. 25)
그렇다면 섀넌의 도깨비 투자전략이 실제 사례에서도 유효한 것인지 국민주식 삼성전자의 거래기록을 통해 검증해 보자.
삼성전자의 주가는 2024년 8월 23일 77,700원에서 10월 25일 55,900원까지 이렇다할 반등없이 하락했다. 8월 23일 종가 77,700원에 100% 매수 후 보유한 투자자와 섀넌 방식 투자자의 수익률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 보자. 앞의 시뮬레이션 사례와 다른점은 주가 변동폭이 작아 조정주식수가 "0"인 거래일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검증 결과
- 최초 투자 후 보유 투자자 자산합계 : 3,608,800원 (-27.90%)
- 섀넌 도깨비 투자자 자산합계 : 4,254,400원 (-14.91%)
실제 사례를 통해 검증한 섀넌의 투자 방식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 추세에 있는 주식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매매를 통해 손실폭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줬다.
반대로 주가가 상승 추세인 경우에는 매수 후 보유한 투자자의 수익률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불확실한 시장에서 제한된 정보만으로 투자를 한다면 "잃지 않는"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도 이렇게 말하지 않았던가. "첫번째, 돈을 잃지 마라. 두번째, 첫번째 원칙을 잃지마라."
일반 투자자가 거대한 자본시장에 맞서 싸우는 것은 어렵다. 특히 조금 오르면 팔아버리고 하락하면 오를때 까지 존버하는 "손실회피편향"이라는 거대한 심리적 벽까지 투자자를 괴롭게 한다. 이길 수 없는 싸움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생각한다. 심약한 내 마음을 이길 수 없다면, 나보다 똑똑한 누군가에게 기대어 그의 어깨에서 세상을 바라보자.
지금까지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섀넌의 도깨비 투자 방식에 대해서 검증을 해봤다. 이제는 100만원 정도의 자금으로 실전 투자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작전주/테마주는 가급적 피하고 우량한 주식 위주로 선별하여 매매할 계획이다.
긴 글 끝까지 잃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자본주의 생존기술 > 리밸런싱투자 제1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섀넌의 도깨비] 리밸런싱투자 제2호 - JW중외제약 추가 매수 (2024. 12. 06) (3) | 2024.12.06 |
---|---|
[섀넌의 도깨비] 14일차 투자일지 - 투자종목 교체 (하이록코리아 → JW중외제약) (4) | 2024.11.25 |
[섀넌의 도깨비 투자전략] 9일차 투자일지 (2024. 11. 20 - 하이록코리아) (5) | 2024.11.20 |
[섀넌의 도깨비 투자전략] 7일차 투자일지 (2024. 11. 18 - 하이록코리아) (4) | 2024.11.18 |
[섀넌의 도깨비 투자전략] 1일차 투자일지 (2024. 11. 11) (6)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