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언어 「회계」쉽게 알아보자/질의응답

개인사업자 세무ㆍ회계의 기본

by 더블유토피아(Wtopia) 2021. 3. 29.
728x90
반응형

 

 

오늘은 개인사업을 운영하시는 사장님들이 궁금해 하시는 세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예전에 첫 직장에 근무할때 G마켓 등(11번가, 옥션 등 다채널 판매)에서 제품을 판매하시는 사장님들의 기장 및 신고대리 업무를 하면서 그분들께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이 있는데요. 그건 바로 "세금(부가세 또는 소득세) 얼마나와요?" 라는 질문이었어요. 그 당시 저의 답변은 항상 "계산해봐야 알 수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였는데요. 지금 또 다시 그 질문을 받는다면 이제는 이렇게 명쾌하게 답할 수 있습니다. 

 

 

"세금은 번(이익) 만큼 냅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지요? 그런데, 정말 저 말 그대로에요. 이익을 내지도 않았는데 세금을 내라고 할 정도로 국가가 그렇게 가혹(?)하지는 않습니다. 단순명료한 불변의 원칙 아래 세법에서 인정하는 기준에 따라 ①수익②비용을 계산해서 세금 내면 되는 거에요. 

 

 

온라인 통신판매업(최근 트렌드에 따라 직원없이 직배송 위주로 사업을 하시는 분)을 하시는 사장님들은 세법 중에서 아래 딱 두가지만 신경쓰시면 됩니다. 

 

 

1. 부가가치세

 

창출한 부가가치에 대한 세금으로써, 일명 "거래세"라고도 불립니다. 부가세의 특징은 최종소비자가 세금을 부담한다는 구조적 특징이 있는데요, 부가가치세의 특징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에요.

 

온라인 통신판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국내에서만 매출(판매)이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부가가치세 세율은 10%를 적용하게 되는데요,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상품을 판매한다고 가정할 경우 우리가 판매하는 판매가격에는 10%의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물건을 만원에 판매한다고 가정하면, 판매가격 만원은 910원의 부가가치세와 9,090원의 물건가격으로 회계처리 하게 되는 원리죠.)

 

부가가치세는 분기별로 집계하여 분기가 끝나는 달의 다음달 25일까지 신고 납부하는 것이 원칙인데요, 개인사업자는 납세행정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해 홀수 분기에는 예정고지세액 납부로 대체하고 짝수 분기(매 6개월 마다 - 1월과 7월)에 신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부가가치세 계산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뭔가 허무하신가요? 허무할 수도 있겠지만, 계산구조는 이렇게나 단순한게 사실입니다.

저 구성 항목에 어떤 것이 포함되고 포함되지 않느냐를 분류하고 집계 하는 과정이 부가가치세 신고서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거에요. (상세한 과정은 향후에 다뤄볼께요)

 

 

 

2. 종합소득세

 

소득있는 곳에 세금있다는 말이 있지요.

 

1년 간의 "수익의 합계 - 비용의 합계(=이익) > 0"이었다면, 돈을 벌었으니 세금을 내야하는 겁니다. 종합소득세는 이익의 규모에 따라 구간별로 세율이 달리 적용되는 특징이 있어요. 종합소득세를 계산하는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익과 비용의 예시>

① 수익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하고 받은 돈(매출액)

② 비용
제품을 구매하는데 지불한 돈(매출원가), 온라인 판매자 G마켓 등에 지불한 돈(수수료, 광고비), 고객에게 배송하기 위해 택배회사에 지불한 돈(운반비), 고객응대와 주문처리를 위해 통신회사에 지불한 돈(통신비), 업무용 차량(출장ㆍ제품 구매 운반 등)을 이용하기 위해 렌트회사에 지불한 돈(차량임차료), 사무실 임차를 위해 임대인에게 지불한 돈(임차료) 등

 

 

부가가치세의 계산 과정보다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계산과정의 시작점은 매출에서 경비를 뺀 이익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전혀 복잡한 문제는 아니라는 거에요.

 

실제 계산하는 과정은 돈을 주고 일을 맡긴 뒤, 전문가가 계산해온 결과물 설명을 들으면 됩니다. 사장님들께서는 계산구조를 알고 그 안에 해당하는 항목을 적절하게 넣었는지, 빼먹은 것은 없는지를 검토하면 되는 거죠.

 

규모가 작아서 일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어느정도 경험이 쌓이면 직접 하실 수도 있을 거에요. 다만, 우리가 경제시간에 배웠듯이 분업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각자 잘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사회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니 흐름을 익혔다면 상세한 부분은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도 좋을 방법이 될꺼에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