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2

관악산(서울대 정문) 주변 주차장 정보 관악산 탐방로에는 여러 코스가 있습니다. 그 중 많은 등산객이 찾는 탐방로는 서울대학교 정문을 통해 진입하는 탐방로 입니다. 서울대학교 정문 탐방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이나 서울대학교 정문행 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관악산 등산 시 자차를 이용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서울대학교 정문 주변 주차장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이보다 가까울 수 없다.  관악산 으뜸공원은 관악산 공원 정문에 위치하고 있어요. 관악산역 1번 출구와도 가까운 거리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행들과 모이기에도 좋은 위치 입니다.   관악산 으뜸공원 위치   주차장 이용정보운영시간 : 24시간 (단, 22:00 ~ 익일 06:00 까지 입차 제한. 출차는 가능)주차요금 : 5분당 250원 (10분 500원 / 1시간 3,.. 2025. 1. 3.
배당락이 뭐에요? - 사례로 알아보는 배당락 연말이면 찾아오는 주가 급락, 원인은 '배당락' 배당락은 배당기준일이 지난 이후 배당금 만큼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배당락이 발생하는 거래일을 배당락일이라고 하는데, 배당기준일 다음 거래일이 배당락일이 된다. 2024년의 경우 12월 27일이 배당락일이다.    배당락일에는 통상적으로 배당금(또는 예상배당금) 만큼의 주가 하락이 발생하는데, 배당금을 받기 위한 권리가 확정 되었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들이 보유중인 주식을 처분하기 때문이다. 2024년의 배당락일도 하락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배당락이라는 악재에 더해 한덕수(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이라는 정치적인 이슈까지 더해져 환율은 급등하고 주가는 폭락하는 겹악재를 맞았다. 민생을 외치며 정쟁만 일삼는 정치인들의 행태는 조선시대 붕당정치.. 2024. 12. 27.
저축은행 자산순위 - 상위 30개사 (2024. 06. 30 기준) 저축은행 79개사 총자산 120조원 (24년 6월말 기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6월 30일 기준 저축은행 79개사의 총 자산은 2024년 3월말 대비 2조 6천억원(-2.17%) 감소한 120조원을 기록했다. 지난 4분기에 이어 3개 분기 연속으로 자산 규모가 감소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동산 경기침체로 저축은행의 주요 대출처인 부동산 관련 대출 규모를 줄여나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상위 30개사의 자산합계는 100조원으로 업권 전체의 83.83%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 -0.39%p 감소한 것으로 자산규모 상위권 저축은행의 자산 감소폭이 하위권에 비해 컸던 영향으로 보인다.     최근 1년간 분기별 총자산 추이 (상위 30개사)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의.. 2024. 12. 26.
2024년 주식시장 폐장일과 배당기준일 정보 - 언제까지 주식을 사면 배당을 받을 수 있을까? 매년 12월 31일은 한국 증시 휴장일, 배당을 챙기려면 어떻게? 12월 31일은 많은 기업들의 결산일과 정기 주주총회 결산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 등 한 사업연도를 마감하는 중요한 업무들이 몰려있다. 연간 결산업무 등에 따른 업무부담을 완화하고, 한국거래소(KRX) 및 증권사들의 업무 결산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고자 매년 12월 31일을 휴장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도 연말에는 거래시간을 단축하여 운영하거나 휴장하는 등 타 국가의 사례로 눈을 돌려보더라도 연말에는 증시를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관찰된다. 2024년 한국 증시의 주요 화두 중 하나는 '밸류업 프로그램'이었다. 상장된 기업들의 저평가 국면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해왔고, 기업들은 저마다 밸.. 2024. 12. 22.
저축은행 자산순위 (2024. 03. 31 기준) 저축은행 79개사 총자산 122조원 (24년 3월말 기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3월 31일 기준 저축은행 79개사의 총 자산은 2023년 12월말 대비 3조 8천억원(-3.02%) 감소한 122.7조원을 기록했다. 지난 4분기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자산 감소세가 이어지며 2개 분기 연속으로 자산 규모가 감소했다. 반면에 시중은행은 자산이 증가해 안전한 금융기관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상위 30개사의 자산합계는 106조원으로 업권 전체의 84.22% 비중을 차지했다. 직전 분기 대비 0.1%p 상승해 소형사와 중대형사간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상위권에서는 또 한번의 순위 변동이 발생했다. 페퍼저축은행의 자산이 23년 12월말 대비 1조원(-2.. 2024. 12. 22.
저축은행 자산순위 (2023. 12. 31 기준) 저축은행 79개사 총자산 126조원 (23년 12월말 기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31일 기준 저축은행 전체 79개사의 총 자산은 2023년 9월 30일 대비 11조 6천억원(-8.42%) 감소한 126.5조원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이 4분기에 대규모 부실자산을 정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촉발된 경기침체가 저축은행의 주요 고객군인 중ㆍ저신용자들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크게 약화시켜 대규모 부실로 이어진 탓이 크다.  거의 모든 저축은행의 자산이 감소한 영향으로 자산순위의 큰 변동은 없었다. 3분기 8위였던 상상인저축은행이 전분기 대비 12%(4천억원) 감소하며 자산순위 9위로 떨어졌다. 높았던 PF대출 비중이 부동산 경기 악화로 대규모 부실로 이어진 영향이.. 2024. 1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