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거래일 연속 크게 하락한 데브시스터즈
10월 13일 136,400원으로 10월 8일 대비 51,000원 하락(-27.2%)
10월 12일 -16.8% 급락 했던 데브시스터즈. 10월 12일의 공매도 거래 급증으로 10월 13일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공매도 거래 금지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0월 13일에도 전일대비 -12.6% 하락하며 2거래일 연속 큰 폭으로 하락했다.
10월 12일 공매도 수량은 전체 27,977주로 전 거래일 10월 8일 대비 공매도 수량이 크게 증가하며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었다. 아래는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요건이다.
① 당일 거래에서 공매도 비중 20% 이상 (코스닥 및 코넥스 15% 이상)
② 직전 40거래일 평균 대비 공매도 비중 2배 이상 증가
③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하락
10월 13일은 공매도 거래가 금지되었으므로, 금일의 매도세는 실제 보유주식의 차익 실현 매물일 확률이 높아 보인다. 금일 거래 주체별 거래량을 확인해보니 기관이 2만주 가량 순매도하며 2거래일 연속 차익실현에 나섰고, 외국인은 전일 공매도 수량을 숏커버링 하는 것으로 보인다.
숏과 롱은 선물매매에서 쓰는 용어인데 숏포지션은 "매도"로 롱포지션은 "매수"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숏커버링은 숏포지션(매도포지션) 즉 공매도 주문을 갚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는 거래로 보면된다.
10월 13일 거래주체별 순매매량을 살펴보자. 사모펀드가 2거래일 연속 차익실현 물량을 쏟아냈고, 투신도 2,800주 가량 순매도 했다. 외국인의 순매수는 위에서 언급한 및 공매도 수량에 대한 숏커버링으로 추측된다. 단기간 낙폭이 과다하다는 판단이었을까? 9월 23일 ~ 24일 차익실현 이후 뚜렷한 거래가 없었던 연기금 투자자의 4,200주 순매수 유입은 그나마 긍정적인 부분이다.
9월 1일 ~ 10월 13일까지 기간 순매매 수량 기준으로 주요 기관투자자의 보유량은 아직 유효한 수준으로 보인다. 하지만, 10월 14일부터 공매도 거래가 재개되므로 또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상황이다. 하락의 끝은 보수적으로 115,000원(기관투자자들의 순매수가 크게 유입되었던 9월 13일 종가) ~ 120,000원(사모펀드 추정 평균단가) 선 부근까지는 열어두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10월 13일 22:00 기준, 쿠키런킹덤의 미국 앱스토어 실시간 매출순위는 13위로 하락했으나, 마케팅 효과 등으로 인기순위는 8위로 상승한 상태인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앞으로의 주가 향방은 신규 유입된 사용자들이 정착함으로써 DAU(일간 활성화 유저, Daily Active Users) 증가, 매출순위의 지속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는 모바일 앱데이터 제공업체(Sensor Tower)에서 쿠키런킹덤의 앱스토어 및 구글플레이스토어 9월 다운로드 수 및 매출액 집계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9월 2일 업데이트 후 글로벌 매출 순위가 상승했으므로 어느정도 유의미한 분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계산해보고자 한다.
9월 앱스토어 1천만달러 + 플레이스토어 6백만달러 = 16백만달러 × 1,150원 = 약 184억원
지난글 [쿠키런킹덤 현지화 더빙, 성공적!]에서 다룬 미국 앱스토어 매출순위를 보면, 9월 앱스토어 순위는 9월 19일까지 16위권 밖에 랭크되어 있었으므로 10월 10위권 전후의 매출순위는 9월 매출액 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지속성" 이 될 것이다.
《구독》과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자본주의 생존기술 >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브시스터즈] 글로벌 업데이트 이후 매매동향 분석 (0) | 2021.11.03 |
---|---|
[데브시스터즈] 할로윈 업데이트와 향후 매출 예측 (0) | 2021.11.01 |
[데브시스터즈] 주가급락 원인분석 및 향후 전망 (21년 10월 12일) (0) | 2021.10.12 |
[데브시스터즈] 쿠키런킹덤 현지화 더빙, 성공적! (0) | 2021.10.10 |
[데브시스터즈] 2021년 9월 13일 상한가 이유 분석 (0) | 2021.09.14 |